축구 이야기

[스크랩] ◎축구기본 이론교육 자료◎ 기본기술 (킥)

장덕희 2010. 4. 16. 15:42

◎축구기본 이론교육 자료◎ 기본기술 (킥) 


킥은 볼을 발로 차는 기술을 의미하며 볼을 패스하거나 슈팅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킥 기술의 3 요소는 킥 하고자 하는 거리, 정확성 그리고 볼의 스피드이다. 패스나 슈팅을 위한 킥은 선수가 볼을 차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킥에는 여러 가지 개인적인 기술이 있고, 축구에서 킥의 기술은 다양하다. 그러나 특정한 킥 기술을 익히기 전에 킥 기술과 관련된 4대 요인을 이해하여야 한다.

1. 킥 동작의 4대 요인

1) 접 근
킥을 하기 전에 볼로 향하는 움직임을 접근이라 한다. 이것은 킥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선수는 흐르는 볼을 조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최대 속도로 볼에 접근하는 것이 항상 바람직하지는 않다. 접근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1) 직선 접근
직선 접근은 볼을 취하려는 선수의 경로가 볼을 차 보내려는 곳과 일직선이 된다 (한가지 예외는 발의 바깥쪽으로 볼을 찰 때이다.)

(2) 곡선 접근
곡선 접근은 볼을 취하려는 선수의 경로는 볼을 보내려는 경로와 직선이 되지 않는다. 곡선 접근은 볼에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직선 또는 곡선 접근의 마지막 스텝은 디딤발을 내딛기 위한 도약이다. 디딤발을 내딛기 위한 도약은 볼을 차려고 하는 다리의 백 스윙을 도와주거나 시간을 제공한다. 도약하는 동안 킥하는 발의 무릎은 구부리고, 고관절은 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자세는 원하는 볼의 속도와 관련된다. 볼의 최대 속도를 내기 위해서 킥하는 다리의 고관절은 다리가 전방으로 보내지기 전에 최대로 펴야 한다.

2) 임팩트 전 동작
임팩트 전 동작(pre-impact)은 볼의 접근 다음 단계로 도약의 끝 부분과 디딤발을 딛는 순간 시작하여 볼을 차기 바로 직전까지를 의미한다. 선수가 지면과 접촉하고 있을 때, 지지하는 발은 받침목의 역할을 하여 디딤발 고관절의 전방의 움직임을 막으면서, 다른 고관절의 전방 회전을 시작하게 하고, 차는 다리 대퇴의 스윙이 시작하게 한다. 그러나 차는 발의 무릎은 굽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임팩트(impact) 바로 전 다리의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며 차는 발의 무릎이 빠르게 펴지게 된다.

팔은 킥하려는 다리가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팔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측면에 위치한다. 킥하는 다리가 앞으로 스윙함에 따라 두 팔은 킥하는 다리의 방향 옆쪽으로 움직인다(그림 1-3 A-F). 킥하는 다리의 동작 균형을 맞추기 위한 팔의 기능은 임팩트와 팔로우 스루(follow through)동안 계속된다.


곡선 접근에서 킥한 볼의 속도를 최대로 하기 위한 두 가지의 요소가 있다. 이 요소는 '열린 엉덩이 위치(open hip position)'와 '긴 지렛대의 사용(use of a longer lever)'이다.

(1) 고관절의 위치
직선 접근과 비교해서 곡선 접근은 임팩트 전 동작의 시작 부분에서 더욱 많이 열린 고관절 위치를 보인다. 이것은 곡선 접근에서 킥하는 다리의 고관절이 더욱 뒤로 끌어당기는 것을 의미한다(그림 1-4 A, B). 개방된 자세로부터 전방으로 스윙하여 킥하는 다리의 고관절까지의 범위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킥하는 다리가 전방을 향해 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2) 지렛대 길이
곡선 접근에서 디딤발은 직선 접근보다 볼의 측면에서 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곡선 접근에서 볼을 임팩트 할 때 킥하는 다리(지렛대)를 최대로 펴기 위해서 몸통을 볼로부터 뒤로 젖힌다(그림 1-5 B). 반면 직선 접근에서는 킥하는 다리의 무릎은 발이 지면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기 위하여 구부려야 한다. 곡선 접근에 긴 지렛대는 직선 접근의 킥보다 빠른 볼의 속도를 일으킨다.

3) 임팩트
볼과 접촉하는 발의 부위는 사용되는 킥의 기술에 따라 변한다. 킥의 기술을 가르치기 전에 초보자들에게 명칭과 사용하는 발의 부분을 가르쳐야 한다

사용되는 킥의 기술에 관계없이 발에서 볼이 어떻게 나갈 것인가에 영향을 주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요인이 있다.

(1) 디딤발의 위치
디딤발이 볼의 측면 앞쪽에 있다면 킥하는 발이 내려오면서 볼과 접촉하게 되며 볼을 위에 누르게 된다. 디딤발이 볼과 나란히 있다면 킥하는 발의 스윙궤도 하단에서 볼과 접촉하게 되어 볼이 날아가는 궤도가 낮아진다. 디딤발이 측면 뒤쪽에 있다면 볼은 발이 올라 올 때 접촉하여 뜰 것이다.

2002 DIGITAL CHOSUN, SBSi, KOREAeSPORTS 이용수의 축구풀이중에서..

출처 : 싸커코리아
글쓴이 : 싸커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