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이야기

[스크랩] 킥 기술 ④인스텝 킥(Instep Kick)⑵

장덕희 2010. 5. 12. 12:22

 

 

킥 기술 ④인스텝 킥(Instep Kick)⑵

 

 

 

 

 

인스텝 킥은 축구에서 가장 강력한 킥 기술이다. 인스텝 킥은 장거리 패스와 단거리나 장거리 슈팅에 사용된다.

 

(1) 초보 선수의 인스텝 킥 지도 방법
초보 선수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인스텝 킥을 어려워한다. 인스텝 킥은 신체 부위의 움직임의 조화를 요구한다. 정확한 발의 위치와 자세 유지를 요구한다. 땅을 찰 것 같은 두려움을 갖는다.

초보자가 인스텝 킥을 배울 때 발생되는 어려움을 코치가 잘 이해하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서 숙달시켜야 한다. 다음은 인스텝 킥에 대한 5단계 지도 방법이다.

 

1단계 - 자세 지도


킥의 성공에 대한 가장 중요한 핵심은 디딤발이다. 디딤발이 볼과 거리가 멀면 볼을 제대로 킥 할 수 없다. 자세 지도에서는 코치가 디딤발을 정확한 위치에 놓아 준다. 선수는 코치의 어깨를 잡고 디딤발의 균형을 유지한다(그림 1-11).


이 자세는 선수의 머리와 몸통을 볼과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또한 선수는 다리를 스윙하는 동안에 킥하는 발이 충분하게 신전 되도록 킥하는 다리의 고관절을 구부려야 한다. 코치는 한 손으로 볼을 잡고 선수의 다리가 전후로 이동하도록 무릎의 굴곡과 신전을 지도한다. 발등의 넓은 부위가 볼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런 보조 활동은 선수가 발등으로 잘 찰 수 있는 감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적절한 몸의 자세를 잡도록 해주며 발등으로 볼을 차는 데 있어서의 불안도 줄여준다.

그림 1-11. 자세 지도 단계에서 코치와 선수의 자세

 

2단계 - 보조 킥


다음 단계는 보조 킥(supported kick)이다 (그림 1-12). 이것은 누군가의 보조로 단기간에 습득 될 수 있다. 이것은 선수가 킥 동작을 조정하는 데 있어 자세 지도 단계와는 다르다. 두 손을 코치의 어깨 위에 올려놓아 몸을 지탱한다. 코치의 두 손에 있는 볼에 디딤발을 직접적으로 갖다 댄다. 선수는 킥의 강약조절을 배워야 한다. 이 단계의 목적은 강력한 킥이 아니라 발을 조정하여 적절히 차고 몸을 잘 유지하는 데 있다.

그림 1-12. 보조 킥의 코치와 선수의 자세

 

3단계 -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


보조 킥 단계에서 킥 조정능력이 입증되면 선수는 차기 전에 스텝을 밟는 것을 배워야 한다. 이 스텝이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이다 (그림 1-13). 다시 킥의 강약을 조정해야 한다. 코치는 전 단계처럼 두 손으로 볼을 잡고 있어야 한다.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 디딤발의 자세, 발 스윙, 몸의 자세, 발등으로 차기 등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도록 한다.

 

 

 

 

그림 1-13.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 단계의 코치와 선수의 자세

 

4단계 - 혼자서 차기, 직선 접근


선수가 발등을 이용한 도약을 습득하면 코치는 선수 혼자서 차는 것을 옆에서 관찰한다.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이 조절되면, 다음은 볼 뒤로 몇 걸음 떨어져서 직선 접근을 하면서 디딤발을 딛기 위한 도약을 하도록 한다.

 

5단계 - 혼자서 차기, 곡선 접근

 

마지막 단계는 볼에 곡선 접근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오른 발로 찰 때 볼의 왼쪽 뒤에서 접근해야 한다. 왼발은 오른발과의 반대 경우로 한다. 직선 접근과 곡선 접근은 두 가지 차이가 있다. 곡선 접근을 할 때는 볼에서 좀 멀리 디딤발을 배치한다는 점이다 (그림 1-14).

 

둘째로 몸이 볼에서 멀어져 기울어져 있어서 킥하기 좋은 적당한 거리 때문에 발을 쭉 뻗기 위해서 무릎과 고관절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 선수가 곡선 접근 킥을 익힌 후에는 드리블 하면서 킥을 하도록 유도한다.

그림 1-14. 곡선 접근 인스텝 킥

 

(2) 땅볼 킥


정지된 볼, 구르는 볼을 인스텝 킥으로 찼을 때 낮게 깔리거나, 뜨거나, 휘어진 볼이 될 수 있다.

 

① 낮은 볼


볼에 대한 곡선 접근이나 직선 접근이 낮은 볼로 킥하는 데 사용된다. 낮은 볼로 처리하는 데 기본적인 요소는 디딤발의 위치이다. 직선 접근을 통해서 낮은 볼로 킥을 할 때, 디딤발은 볼의 측면에 위치해야 한다. 이 위치에서 킥하는 다리의 무릎은 볼 위에 위치하고 킥하는 발의 스윙 궤도가 내려올 때 이루어진다 (그림 1-15).

 

곡선 접근에서 낮은 볼로 킥을 할 때, 디딤발은 볼의 측면에서 조금 떨어진 자리에 위치한다. 이것을 통해서 킥하는 다리의 무릎이 볼 위에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세에서 킥하는 발과 볼의 접촉은 킥하는 발의 회전 스윙 궤도 하단에서 이루어진다.

 

그림 1-15. 직선 접근 인스텝 킥 시 낮은 볼로 처리하기 위한 디딤발의 위치

 

② 높이 띄우는 볼
직선 접근 혹은 곡선 접근을 통해서 공중으로 킥을 하려면 디딤발은 낮게 볼을 처리할 때 보다 볼의 뒤쪽으로 다소 멀어진다. 조금 멀어진 디딤발을 통해서, 볼의 임팩트는 킥하는 발의 스윙 궤도가 올라갈 때 이루어진다. 곡선 접근을 통한 킥이 볼을 공중으로 보내기에 보다 쉽다.

 

발과 볼의 뒷부분이 접촉하는 각도가 낮아지면서, 발등은 볼 중심의 아래 부분과 접촉하여 역회전(back spin)과 함께 공중 볼이 된다. 이러한 유형의 킥을 '칩킥(chip kick)'이라고 한다 (그림 1-16).

그림 1-16. 발등을 이용한 칩 킥의 발 자세

 

 

③ 휘어차는 볼
뜨는 볼을 차는 동작으로 볼의 중앙에서 살짝 벗어난 부분과 발등 안쪽의 임팩트를 통해서 커브 볼을 구사할 수 있다.

 

(3) 하프 발리 킥


직선 접근 혹은 곡선 접근을 통해서 낮은 볼, 높이 띄우는 볼, 방향을 바꾸는 볼이 하프 발리 인스텝 킥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림 1-17). 이러한 킥들의 움직임 형태는 발등을 이용한 땅볼 킥을 하는 데 사용된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하프 발리는 볼이 접근하는 속도가 빠르고 튀기고 난 다음 정확하게 차는 것이 요구되므로 더 어렵다.

그림 1-17. 인스텝 하프 발리 킥의 낮은 볼

 

(4) 공중 볼 킥


직선 접근 혹은 곡선 접근을 통해서 낮은 볼, 높이 띄우는 볼, 방향을 바꾸는 볼이 공중 볼에서도 인스텝 킥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러한 킥들에 움직임 형태는 발등을 이용한 하프 발리 킥의 형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볼을 정확하게 맞추기가 힘들기 때문에 공중 볼을 정확하게 인스텝 킥을 하는 것은 어렵다.

 

핵심 요소

  • 볼에 속도를 조절하여 접근한다.
  • 최고 속도로 볼을 킥 할 때에는 디딤발이 도약하는 동안에 킥하는 다리의 고관절은 완전히 신전되고 무릎은 구부린다.
  • 원하는 인스텝 킥 형태와 볼의 접근 유형에 따라서 디딤발을 적절한 위치에 놓는다.
  • 원하는 방향으로 디딤발을 놓는다. .
  • 임팩트와 팔로우 스루 동안에 킥하는 발은 발목의 완전한 신전을 유지한다.

그림 1-18. 인스텝 킥의 팔로우 스루 동안에 발의 위치와 신전 된 발목

 

범하기 쉬운 오류

  • 볼을 발등에 정확하게 맞추지 못한다.
  • 딤발이 보내고자 하는 볼의 높낮이와 일치하지 못한다.
출처 : 싸커코리아
글쓴이 : 싸커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