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이야기

[스크랩] 공격 전술-그룹전술

장덕희 2010. 5. 17. 18:49

공격 전술-그룹전술

 

 

 

(1) 짧은 패스 연결

선수들은 515m이내에서 이루어지는 짧은 패스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경기 중 2 1, 3 1의 짧은 패스를 활용하여 전개되는 전술은 다양하다. 따라서 선수는 짧은 패스에 의한 다양한 전술능력을 습득해야 한다.

 

(2) 벽 패스와 더블 패스

벽 패스(wall pass)와 더블 패스(double pass)는 가장 많이 수행되는 일반적인 패스 형태이다. 이러한 패스를 이용해 밀집 지역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한다. "벽 패스" "더블 패스"는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벽 패스는 두 가지 패스의 조화이다.

더블 패스는 세 가지 패스의 조화이다.

그림1-6 두명의 위치변화 : 횡적, 종적 움직임

 

그림1-6은 공간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나타낸다. 벽 패스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번째 패스는 상대편 선수가 마크를 하고 있을 경우 늦춰질 수 있다. 그 선수는 골문을 향해 단독으로 갈 것인가 혹은 다시 패스를 할 것인가? 더블 패스의 독특한 효과적인 변화는 마지막 패스를 움직이기 시작하는 선수에게 하지 않고 세 번째 선수에게 하게 된다.

 

그림 1-7 3자패스는 상대가 예측하지 못하므로 좋은 공격 기회를 만들 수 있다

 

그림 1-8 수비 뒤 공간으로의 움직임은 좋은 공격 기회를 만들 수 있다

 

 

그림 1-9 경기 중 미드필드 지역에서의 조직적인 패스와 움직임은

특히 많이 사용되므로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3) 측면전환과 움직임의 변화

현대축구는 둘 혹은 그 이상의 선수가 미드필드에서 볼을 가지고 공격에 가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볼을 가진 선수를 막고 슈팅으로 이어지는 패스를 막는 것이 수비의 기본적인 임무이다.

 

미드필드에서 56명이 움직여도, 상대편 수비지역의 측면에 볼을 받는 선수가 부족하다. 볼을 가진 선수에 대한 압박은 백 패스에 의해 줄어 들 수 있다. 백 패스를 받는 선수는 경기의 움직임을 다른 쪽 측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대각선 패스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한 번의 공격 내에서 몇 번씩 반복할 수도 있다. 상대선수가 체력이 떨어져 압박수비를 못할 때 전술의 변화를 주어 상대팀 페널티 지역으로 롱 킥을 한다.

 

(4) 오프사이드 트랩에 대한 공격방법

오프사이드 트랩(offside trap)은 팀 전술의 하나이며 매우 효과적인 수비방법이다.오프사이드 트랩에 대한 세 가지 기본 대응방법은 다음과 같다. 앞쪽으로 움직이는 수비라인 뒤로, 높고 정확한 패스를 한다. 볼은 상대편의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오랜 체공시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드필더는 볼을 점유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는다.

 

드리블로 돌파한다. 백 패스를 받은 미드필더는 빠르고 정확한 드리블로 돌파를 시도한다. 좁은 공간에서 벽 패스와, 더블패스를 한다. 센터 포워드는 킥을 지연시키는 벽 패스로 골 성공을 위한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다.

 

(5) 침투 패스에 의한 공격

공격이 일직선 상에서 이루어지면 수비 팀은 공격의 전개를 쉽게 막을 수 있다. 왜냐하면 수비 팀은 공격 선수들이 서로 옆으로 패스할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수들에게 깊숙이 들어가거나 동료를 받쳐줄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볼의 앞뒤에서 플레이함으로써 어떻게 침투하여 공격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야 한다. 침투하여 들어가면서 슈팅할 수 있도록 골 쪽으로 정확한 패스를 하거나 다른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동료에게 백 패스할 수 있다. 침투패스에 의한 공격전술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패스하고 달리기나 벽 패스, 2 1 오버래핑과 3 1 오버래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6) 측면에서 골문 앞 지역으로의 패스

대체로 직접 슈팅할 수 있는 위치는 필드의 중앙이기 때문에, 필드의 중앙에서 직접 공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것을 방해하는 한 가지 요인이 있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몇몇의 수비수가 골문 앞에서 커버를 하고 슈팅하기 좋은 위치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비효과적이지만 슈팅 각을 측면으로 하여 볼이 가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골 에어리어의 측면에 볼이 있을 때 효과적인 공격을 하기 위해서는 측면에서 똑바로 슈팅을 할 수 있는 골 앞의 지역으로 패스를 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이 원칙의 중요한 요소는 골 라인 가까이에서 골 앞으로 패스한 볼이 골키퍼 손에 닿을 수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때때로 골키퍼는 골문을 열어둔 채 잡을 수 없는 볼을 쫓아 골 에어리어 밖으로 움직일 것이다. 골문에 근접해서 공간 만들기는 이 원칙을 연습하고 가르치는 데 유용한 활동이 될 것이다.

 

 

그림 1-10. 측면에서 골문 앞 지역으로의 센터링

 

(7) 슈팅의 정확성

슈팅의 정확성은 선수 전체의 큰 과제 중 하나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슈팅 연습이라면 '인 스텝으로 힘껏'하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실제의 골 장면을 면밀히 분석해 보면 그 대부분이 페널티에어리어 내에서 인사이드 킥으로 분명하게 코스를 노린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영국 등의 유럽국가들도 지도를 할 때 '쏴라!(shoot)'라는 말이 아니라 '볼을 골 안에 집어넣어라!(put it in)'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이는 슈팅이 패스의 연장이라는 생각에서 나온 말이다. 트레이닝의 결과 근래에는 어려운 시합 속에서도 안정된 마무리로 골을 성공시키는 플레이를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트레이닝에서 실제의 시합 장면을 의식하고 이를 위한 기술을 연마하도록 하면 슈팅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득점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첫째, 두려움이다. 팀 동료, 감독, 관중 등의 부담감은 슈팅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실수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다. 또 다른 두려움은 신체적 접촉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으나 과감하게 슈팅을 시도함으로써 수비태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부정확한 슈팅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좁은 시야를 갖고 있는 선수는 결정적인 슈팅기회, 정확한 패스연결에 의한 슈팅기회 등을 정확한 슈팅으로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선수들은 슈팅하기 전에 골키퍼의 위치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시야를 가져야 한다.

 

셋째, 스피드의 부족이다. 시야가 좁은 선수에게는 적절한 충고와 조언을 통해 스스로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하며, 슈팅의 기회가 주어지면 과감히 시도할 수 있는 과감성을 키워주어야 한다.

 

즉 훌륭한 공격수에게는 슈팅 가능 지역에서의 빠른 판단력과 스피드, 민첩성이 요구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슈팅을 시도할 수 있는 용기와 정확한 슛 동작에 의한 골 결정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능력은 선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과학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도 과감하고 정확한 슈팅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처: 미카엘 축구사랑

출처 : 싸커코리아
글쓴이 : 싸커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