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기술⑵드리볼
드리블이란 발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움직임에 대응하며 볼을 컨트롤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최근 축구의 전술은 빠른 공수전환과 패스를 강조하기 때문에 드리블로 상대를 돌파하는 플레이가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드리블로 상대수비 선수를 돌파하는 일은 아마도 축구경기에 있어 선수 자신과 관중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묘기 중의 하나일 것이다. 드리블 기술을 지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드리블의 기본 기술을 익힘과 동시에 선수 스스로 생각하고 드리블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훈련 조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우수한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발휘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특징적인 드리블 방법을 두 가지 이상은 익히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단계에서는 기본적인 드리블 방법의 주요 유의점을 숙지하며 볼을 컨트롤하는 기본기술을 익히고 기술단계가 높아질수록 선수 각 개인의 장점을 이용한, 예를 들면 스피드가 좋은 선수는 스피드를 충분히 활용하거나 또는 컨트롤이 우수한 선수는 컨트롤 방법으로 상대 선수를 젖히는 방법들의 드리블 방법을 익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가능하면 선수 스스로 유연한 몸놀림을 이용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1. 드리블의 기본요소
드리블 형태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이 차이가 있지만 다음의 기본요소는 어떠한 형태의 드리블을 할 때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 조 절
상대 수비수에게 집중 마크를 받으면서 드리블 할 때, 상대 수비의 마크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나기 위해서 볼은 발에 가깝게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수비수가 밀착 방어를 하지 않을 때 조절을 통해서 발로부터 보다 멀리 드리블 할 수 있다. 모든 드리블 기술에서 수비수의 느슨한 마크에서 조절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밀착마크 상황에서 볼을 가깝게 조절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2) 시 야
초보 선수들은 드리블 할 때 볼만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훌륭한 시야를 가진 선수는 드리블하면서 볼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볼 주위의 상황을 본다. 초보자는 드리블 중에 볼만을 보기 위해서 머리를 아래로 떨어뜨려서 예상하지 못한 태클에 볼을 빼앗긴다. 즉, 드리블 기술이 좋은 선수는 드리블하는 동안에 머리와 목의 자세가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자세로 드리블 할 경우 상대 수비수들은 드리블을 하는 선수가 팀동료에게 패스하는 동작으로 여기고 태클을 자제한다. 따라서 수비수가 패스에 대한 준비하기 때문에 드리블 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얻을 수 있다.
3) 리듬
리듬은 볼을 가지고 달리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능력이다. 리듬은 구르는 볼의 위치와 영역 그리고 달리는 속도와 일치한다.
2. 드리블 기술의 종류와 방법
드리블의 종류는 그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볼과 접촉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서 인사이드(inside), 아웃사이드(outside), 인스텝(instep) 드리블로 분류한다.
1) 인사이드 드리블
인사이드 드리블은 양쪽 발의 안쪽을 사용하여 볼을 다루기 때문에 습득하기 가장 쉬운 드리블 기술이다. 디딤발은 달리는 형태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지면에 놓는다. 발 안쪽의 넓은 부위를 통해서 볼을 접촉한다. 인사이드 드리블은 볼과의 접촉부위가 넓기 때문에 볼의 조절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발목은 인사이드 킥과 마찬가지로 발목을 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볼과 접촉할 때 몸통은 전방으로 조금 기울이고, 팔은 달리는 형태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스윙을 한다. 그리고 디딤발은 볼의 뒷면과 측면에 자연스럽게 놓는다 (그림 3-1C). 팔로우 스루 동안에 드리블을 위해 사용한 다리와 발은 자연스러운 달리기 보폭 위치에 따라서 회전한다(그림 3-1B,C). 인사이드 드리블은 볼과 접촉하는 다리의 방향에 대해서 다리의 바깥쪽 회전으로 인한 달리는 속도의 장애 때문에 가장 느린 드리블 기술이다.
그림3-1. 인사이드 드리블
2) 아웃사이드 드리블
아웃사이드 드리블은 발 바깥쪽으로 볼을 터치한다. 선수는 볼과 다리의 접촉을 위한 내측 회전 때문에 다소 달리는 속도에 영향을 주지만 율동적인 달리기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그림 3-2). 볼과 접촉하는 발은 발목의 완전한 신전상태에서 이루어지고 발의 위치는 볼의 뒷면과 엇갈린 자리에 놓는다. 발 바깥쪽을 이용하는 아웃사이드 드리블은 볼과 접촉하는 발의 전방과 측면으로 볼을 드리블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사이드로 드리블할 때는 발목을 안쪽으로 약간 회전하여 볼을 접촉하지 않으면 동일한 발을 가지고 연속으로 볼을 터치하면서 곡선 경로를 따라서 볼을 이동시킬 수 없다 (그림 3-2A).
그림 3-2. 아웃사이드 드리블( 발의위치와 볼의 진행방향 )
3) 인스텝 드리블
발등 전체를 이용하는 인스텝 드리블은 인사이드와 아웃사이드 드리블과 다르게 무릎을 구부려서 볼과 접촉하는 부위를 넓게 한다. 발등 전체를 이용하기 위해서 발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고 발끝이 지면과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한다(그림 3-3). 그러나, 다리는 바깥쪽이나 안쪽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볼과 접촉시에 드리블하는 다리의 무릎은 볼 위쪽에 위치해야 한다.
율동적인 달리기 형태에서, 약간의 멈춤 작용에 고관절과 무릎에 굴곡이 만들어져야 지면과 발 사이에 여유공간이 생긴다. 발등을 이용한 드리블은 접촉하는 발의 약간 안쪽이나 바깥쪽 회전이 드리블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가장 현혹적인 기술이다. 다음은 볼과의 접촉하는 발 부위에 따른 드리블 기술들의 핵심 사항이다.
그림 3-3. 인스텝 드리블
핵심 요소
- 볼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볼과 근접하여 드리블 한다.
- 볼 터치가 이루어질 때마다 시야는 볼의 주변 상황을 살펴야 한다.
- 달리는 형태에 맞추어 장애가 없이 부드럽게 드리블을 수행한다.
범하기 쉬운 오류
- 패스가 가능한데도 드리블을 한다.
- 머리를 밑으로 떨어뜨리고 볼만 보며 드리블을 한다.
4) 지도 과정
위에 제시한 세 가지 드리블 기술은 초보 선수를 위해 필수적이다. 다음은 드리블 기술을 지도하는 순서이다.
- 양발을 이용하여 세 가지 드리블 기술을 연습하도록 한다.
- 느린 페이스에서 시작하여 점차 빠른 페이스로 드리블을 시행하도록 한다.
- 근접 조절 상황에서 드리블하는 발과 볼과의 거리를 점점 늘린다.
- 제한되지 않은 지역에서 드리블을 하다가 점차적으로 제한된 지역에서 드리블을 시킨다.
3. 드리블 조절 기술
상대방 골문으로 볼을 드리블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드리블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직선 접근 방법은 상대방 수비가 드리블하는 선수를 밀착 마크하고 볼을 향해서 태클을 시도하는 경기 상황에서는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경기 상황에서 드리블을 적용할 때는 보다 창의적이어야 하고 선수가 볼의 조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기술들이 필요하다. 다음은 경기상황에 적용 가능한 드리블 기술의 조절 방법을 소개한다.
1) 페이스의 변화
볼을 태클 하고자 하는 수비수는 드리블을 하는 선수와 함께 달린다. 이러한 상황은 드리블 하는 선수가 빨리 페이스 변화(change of pace)를 시도함으로써 벗어날 수 있다. 빠른 속도로 드리블 하다가 신속하게 드리블의 페이스를 늦추어서 이러한 변화에 느리게 반응하는 수비수와 드리블하는 사람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1) 페이스 늦추기
드리블을 하다가 발의 안쪽, 바깥쪽, 그리고 발바닥을 이용해서 페이스를 신속하게 늦출 수 있다 (그림 3-4A-C). 발의 안쪽과 바깥쪽을 이용해 볼을 낚는 방법은 볼의 정면을 접촉해야 한다. 발바닥을 이용해서 늦추는 방법은 볼의 윗부분을 눌러 볼의 움직임을 늦추거나 구르는 볼의 정지를 위해서 사용된다.
그림 3-4. 페이스 늦추는 방법: (A) 발 안쪽, (B) 발 바깥쪽, (C) 발바닥 이용
(2) 페이스 높이기
드리블 페이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빠르게 달리고 매 드리블마다 볼을 참으로써 몸으로부터 볼을 더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인사이드 드리블보다는 아웃사이드 드리블과 인스텝 드리블의 페이스가 더욱 빠르다. 따라서, 드리블 페이스를 높이고자 할 때 인사이드 드리블은 사용하지 않는다.
2) 방향의 변화
볼 방향의 신속한 변화는 드리블하는 선수와 수비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데 필요하다. 볼의 구르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세 가지 방법은 발의 안쪽, 바깥쪽, 발바닥을 이용한다.
(1) 발 안쪽을 이용한 볼 전환
이 기술을 수행하려면 볼 측면의 디딤발이 바깥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디딤발을 놓기 전에 짧은 도약이 일어난다(그림 3-5A-C). 신체는 회전하면서 도약하는 방향으로 기울인다. 도약과 디딤발 위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반대편 발 안쪽을 이용해서 볼을 접촉하고 디딤발 쪽으로 볼의 방향을 변화시킨다(그림 3-5B-F). 이 기술은 수비수가 드리블하는 사람의 뒤에서 측면으로 접근할 때 매우 유용하다.
발 안쪽을 이용한 빠른 전환은 뒤에 있는 수비수의 수비압박을 감소시키고 드리블하는 사람에게 공간을 만들어 준다(그림 3-5). 또한 이 기술은 드리블하는 사람의 정면으로 접근하는 수비수를 따돌리기 위해 효과적이다. 마지막 순간에, 수비수가 볼을 태클 하고자 할 때 빠른 전환으로 벗어 날 수 있다(그림 3-6).
그림 3-5. 발 안쪽을 이용한 볼 전환
그림 3-6. 수비수 정면에서 발 안쪽을 이용한 볼 전환
(2) 발 바깥쪽을 이용한 볼 전환
발 바깥쪽으로 볼을 전환하기 위해서 디딤발은 볼의 측후방에 위치한다(그림 3-7A,B). 디딤발의 반대 측면으로 몸을 기울이고, 볼을 몸의 기울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발 바깥쪽으로 볼을 터치한다(그림 3-7 C,D).
그림 3-7. 발 바깥쪽을 이용한 볼 전환
(3) 발바닥을 이용한 볼 전환
볼의 윗부분을 접촉해서 드리블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접촉하는 발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볼의 방향이 새로이 결정된다. 신체 정면에서 볼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리와 발의 스윙과 몸의 기울기가 잘 조화되어야 한다 (그림 3-8). 볼이 구르는 경로의 반대 방향에서 볼을 뒤로 끌어당기려면 접촉하는 발은 뒤로 스윙하고, 신체는 디딤발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약간 뒤쪽으로 기울여서 볼을 가지고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림 3-8. 오른쪽 발바닥을 이용하여 왼쪽으로 볼 전환
3) 등지기
수비수와 볼 사이에 공격수의 몸을 넣어 볼을 보호하는 것을 등지기(shielding)라고 한다. 등지기의 목적은 수비수로부터 볼을 방어하는 것이다. 드리블 할 때, 볼은 수비의 압박이 있는 반대편 발을 통해서 처리된다. 드리블하는 사람은 무릎을 구부려서 몸을 낮추고, 팔을 몸의 측면에 두면서 수비의 차징을 흡수하기 위해서 수비수 방향으로 기울인다(그림 3-9A,B).
그림 3-9. 발 바깥쪽으로 드리블 할 때의 등지기
4) 페인팅
페인팅(fein
드리블하는 사람이 직면하는 상황에 상관없이, 상대편 수비를 속이기 위해서는 볼 움직임의 페인팅보다 몸을 이용한 페인팅이 훨씬 용이하다. 페인팅의 수행에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은 움직임의 위치선정과 타이밍이다. 볼을 소유한 선수가 수비수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페인팅을 수행하면, 수비수가 재방어를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아주 가깝게 있는 수비수에게 페인팅을 수행하면 드리블하는 사람은 태클로 인해서 볼을 놓치게 된다. 훌륭한 페인팅은 상대 수비선수를 적절한 거리에서 빠른 몸 동작으로 균형을 잃게 하여 돌파하는 것이다. 다음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상대편을 속이기 위한 신체 부분의 움직임과 볼의 움직임을 이용한 페인팅 기술이다.
(1) 신체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
신체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은 수비수가 드리블하는 사람의 정면으로 접근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신체의 페이팅 동작이 드리블의 페이스를 가속화시켜서 수비수를 지나가는 것처럼 측면 쪽으로 유인한다. 수비수가 페인팅에 반응하여서 기울어질 때, 발 안쪽을 이용해서 볼을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그림 3-10).
그림 3-10. 신체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
(2) 신체 페인팅과 아웃사이드 드리블
이 기술은 신체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발의 바깥쪽을 이용한다는 점만 다르다.
그림 3-11. 신체 페인팅과 아웃사이드 드리블
(3) 킥 앤 페인팅
킥 앤 고(kick and go) 페인팅은 수비수가 정면으로 접근할 때 드리블하는 사람이 마치 킥을 하는 것처럼 상체를 기울이고 다리를 뒤로 스윙함으로써, 수비수의 접근이 멈추는 순간 다시 수비수를 지나쳐서 볼을 빠르게 밀고 가는 기술이다.
(4) 인사이드-아웃 페인팅과 아웃사이드 드리블
인사이드-아웃 페인팅과 아웃사이드 드리블은 수비수가 드리블하는 사람의 정면으로 접근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 한 쪽 발을 신체의 중앙 쪽으로 스윙하여 볼의 중앙 쪽으로 향하면서 볼의 측면에 놓는다 (인사이드-아웃). 발이 착지되면, 착지한 발쪽으로 계속해서 드리블을 하는 것처럼 착지한 발쪽으로 몸을 기울인다. 반대 발 바깥쪽을 이용해서 몸이 기울기 시작한 반대편 방향으로 수비수를 벗어나게 볼을 밀어낸다(그림 3-12).
그림 3-12. 인사이드-아웃 페인팅과 아웃사이드 드리블
(5) 아웃사이드-인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
이 기술은 한쪽 발이 바깥쪽에서 볼의 정면으로 스윙하여 착지하기 전에 신체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스윙하는 것(outside-in)을 제외하고는 위의 (4)번 페인팅 방법과 유사하다. 그리고 다른 다리는 착지된 발의 정면을 가로질러서 볼을 보내기 위해서 발의 안쪽으로 볼을 밀어낸다(그림 3-13).
그림 3-13. 아웃사이드-인 페인팅과 인사이드 드리블
(6) 볼 넘기와 발 안쪽 전환
이 기술은 수비수가 드리블하는 사람의 뒤에서 접근하고 드리블하는 사람이 볼을 뒤쪽으로 진행시키고자 할 때 구르는 볼에 사용한다. 이 페인팅은 볼을 뒤쪽으로 전환하려는 것처럼 한쪽 다리를 아웃사이드-인 스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볼이 드리블하는 사람의 다리와 빠른 전환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구르고 있으면 디딤발을 통해서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여서 반대 발의 안쪽으로 볼을 처리한다(그림 3-14).
그림 3-14. 볼 넘기와 발 안쪽을 이용한 전환
(7) 발바닥 끌어당기기와 뒤로 전환
이 기술은 볼을 이용한 페인팅이다. 수비수가 정면으로 접근할 때 수행한다. 드리블하는 사람은 볼을 수비에게 노출한다. 수비수가 태클하기 위해서 다리를 뻗어 다음 동작이 둔해질 때, 발바닥을 이용하여 볼을 뒤로 끌어당겨서 수비수를 돌파하여 전방으로 드리블한다.
(8) 발바닥 정지와 전환
발바닥 정지와 전환은 수비수와 드리블하는 사람이 빠른 속도로 어깨를 맞대고 달리고 있을 때 수행한다. 수비수와 먼 발의 발바닥을 이용하여서 드리블하는 사람은 볼을 멈추고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고, 볼을 처리하기 위해서 전환한다. 이 동작을 빠르게 수행하면, 수비수가 짧은 거리이지만 지속적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드리블하는 사람은 방향전환을 하여 영역을 확보한다(그림 3-15).
그림 3-15. 발바닥 정지와 전환
(9) 발바닥 정지와 출발
이 동작은 (8)번의 동작과 유사하다. 이 페인팅에서는, 드리블하는 사람이 느린 페이스로 드리블하면서 볼을 정지시키는 것처럼 발바닥으로 볼의 윗부분에 놓는다. 태클 범위에서 수비수가 정지할 때, 드리블하는 사람은 발바닥을 이용하여서 신속하게 볼을 전방으로 밀고 나간다(그림 3-16).
그림 3-16. 발바닥 정지와 출발
(10) 페인팅 정지와 출발
이 페인팅은 (9)번의 방법과 유사하다. 이 페인팅에서, 볼 위에 발을 놓으면서 발바닥을 이용해서 볼을 정지하는 것처럼 하지만 사실은 발로 볼을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발로 볼을 빠르게 전방으로 드리블한다. 드리블하는 사람의 달리기에서 페이스의 변화는 수비수를 흔들리게 하는 데 사용된다.
'축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본기술⑵볼 컨트롤 (0) | 2010.05.17 |
---|---|
[스크랩] 기본기술⑵태클(tackle) (0) | 2010.05.17 |
[스크랩] 기본기술⑵슈팅(shooting) (0) | 2010.05.12 |
[스크랩] 축구전술②수비전술 (0) | 2010.05.12 |
[스크랩] 기본기술 ⑵ 패스(pass) (0) | 201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