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기술⑵태클(tackle)
태클(tackle)이란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볼을 빼앗는 모든 동작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포지션에 관계없이 모든 선수는 태클의 기술을 습득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 태클 방법이 있지만 특히 우리 나라 선수들은 어려서부터 잔디구장에서 운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적고 맨땅이나 인조잔디구장에서 연습과 경기를 갖게 됨으로써 우수한 슬라이딩 태클 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수비선수에게 가장 주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는 태클 훈련을 소홀히 해서는 결코 우수한 선수가 될 수 없으므로 여건이 허락되는 대로 태클 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 태클의 종류 및 방법
상대방의 볼을 빼앗는 방법으로는 인터셉트(intercept), 어깨 차징(shoulder charging), 스탠딩 태클(standing tackle), 피벗 태클(pivot tackle), 슬라이딩 태클(sliding tackle) 등이 있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터셉트
인터셉트 또는 도중차단이란 상대가 볼을 움직이거나 패스하려는 것을 예측하여 볼을 차는 순간 또는 자기가 마크하는 상대선수에게 패스된 볼을 가로채는 동작이다. 이 기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볼의 진로 예측과 민첩한 동작이다.
자기가 마크하는 상대에게 보내진 패스를 도중 차단하려면 패스하는 자와 마크할 상대의 움직임을 감안하여 위치를 선정하고, 상대가 패스를 받으려는 순간에 대시(dash)해서 그 볼을 가로채야 한다. 볼을 가진 상대가 패스하려는 것을 인터셉트할 때의 자세는 발을 약간 벌리고 발목과 무릎을 부드럽게 하고 상체를 똑바로 하여 어느 방향의 움직임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어깨 차징
축구에서는 어깨와 어깨, 즉 상체의 측면과 측면으로만 상대와 접촉하는 것이 정당하게 허용되고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상대로부터 볼을 빼앗는 방법이 어깨 차징이다.
어깨 차징의 방법을 습득하게 되면 상당한 체격 차이가 있는 상대와의 경합에서도 이길 수 있다. 몸의 균형은 바깥쪽 팔로 유지하고, 안쪽 팔은 몸 쪽에 대고 있어야 한다.
이 팔을 몸 쪽에서 떼어 밀었을 경우에는 반칙(푸싱 또는 홀딩)이 된다. 어깨 차징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령은 상대의 체중이 먼 쪽 다리에 실리는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다.
그림 7-1. 어깨 차징으로 볼 빼앗기
핵심 사항
- 볼에 가까이 가기 위해 정당한 어깨 싸움을 이용한다.
- 상대방과 가장 가까운 발로 태클한다.
- 상대방의 드리블 사이에 태클한다.
범하기 쉬운 오류
- 뒤에서 차징을 한다.
- 공격수의 발을 걸어 넘어뜨린다.
3) 스탠딩 태클
이 때 다리 부딪침이 강할수록, 또 상대가 나가려는 순간일수록 상대는 볼에 밀려서 몸의 균형을 잃은 상태가 되어 볼이 태클한 발 밑에 남게 된다. 만약 상대가 자기의 오른쪽 방향으로 피했을 때에는 오른 발로 볼을 건드리거나 또는 오른쪽으로 몸을 뒤틀어서 뒤쫓는다(그림 7-2).
그림 7-2. 스탠딩 태클
또 상대의 발이 볼을 건드리는 순간 태클 하는 발이 볼에 닿도록 타이밍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
볼을 막는데 성공한 다음 상대가 볼에서 멀어지게 되면 좋은데 그렇지 않고 대등한 상태가 되었을 때는 발로 볼을 아래에서 위로 끌어 올려서 상대의 발 위로 넘긴다던가(그림 7-3), 공격수의 다리 사이로 밀어내든지(그림 7-4), 자기 몸을 상대와 볼 사이에 놓을 수 있도록 볼을 건드린 발을 중심 축으로 하여 몸을 회전시켜 볼을 자기 지배하에 둔다(그림 7-5).
그림 7-3. 스탠딩 태클과 볼 들어올리기
그림 7-4. 스탠딩 태클과 다리 사이로 볼 밀어내기
그림 7-5. 스탠딩 태클과 몸의 회전
핵심 사항
- 볼의 중앙에 접촉하고 앞쪽으로 몰고 나간다.
- 지탱하는 발을 볼의 옆쪽에 둔다.
- 균형을 좋게 하도록 지탱하는 다리의 무릎은 굽혀 몸을 낮춘다.
- 상대방이 볼을 차려고 할 때 태클을 한다.
범하기 쉬운 오류
- 블로킹하는 다리를 쭉 펴고 태클을 한다.
- 태클 하면서 몸을 뒤로 젖힌다.
- 블로킹하는 다리가 이완된 상태로 태클한다.
4) 피벗 태클
피벗 태클은 뒤에서 공격수를 따라 잡거나 측면에서부터 공격수의 진로를 차단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태클은 스탠딩 태클과 비슷한 방식이지만 몸을 태클할 자세로 준비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스탠딩 태클과 다르다.
수비수가 공격수를 따라 잡을 때, 지탱하는 발이 바깥쪽으로 회전되고 드리블하는 사람의 전방 측면에 위치하도록 도약한다(그림 7-6 A-C). 도약하는 동안 수비수의 몸체는 드리블하는 사람을 마주보도록 선회해야 한다(그림 7-6 A-D). 이는 수비수의 자세를 피벗 태클을 완성시켜주는 스탠딩 태클 자세가 되도록 한다(그림 7-6 D-F).
그림 7-6. 피벗 태클
핵심 사항
- 도약하는 동안, 지탱하는 발을 바깥쪽으로 회전시켜서 볼의 전방 측면에 위치시킨다.
- 공격수를 마주보기 위해 몸통을 180°피벗 시킨다.
- 스탠딩 태클을 수행하여 피벗 태클을 완성한다.
범하기 쉬운 오류
- 볼 뒤쪽에서 태클한다.
- 볼이 태클 하는 쪽과 반대편 발 위에 있을 때 그 볼을 태클한다.
5) 슬라이딩 태클
슬라이딩 태클은 드리블이나 슈팅하고 있는 상대의 옆이나 약간 비스듬히 뒤에서 미끄러지면서 하는 태클 방법으로 미끄러지기 위해 발돋움한 발로 태클 하는 경우와 그 반대발로 태클 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쪽이든 엉덩이로 미끄러지는 기분으로 빨리 몸을 내던질 필요가 있고, 볼을 건드리는 발의 서서 하는 태클과 차이가 별로 없다. 슬라이딩 태클은 급한 위기 순간에 시도하는 태클로서 몸을 내던져서 미끄러지는 것을 반복 연습하지 않으면 효과를 얻기 어렵다.
슬라이딩해서 하는 태클의 변형으로 엉덩이로 눕듯이 미끄러져, 양다리를 동시에 볼에 맞혀 볼을 밀어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때때로 당한 사람에게 위험을 끼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위험한 플레이로 반칙을 선언 당하는 일이 많다.
슬라이딩 태클의 중요한 점은 발을 지면에서 떼고 뛰어드는 것이 아니라 엉덩이와 발뒤꿈치로 지면을 활주하는 기분으로 하는 것이다. 슬라이딩을 할 때 발을 지면에서 높게 떼게 되면 대부분의 경우 반칙이 된다. 이 슬라이딩 태클은 한번 시도하여 실패하게 되면 다시 수비에 가담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태클은 신중을 기해 결정적인 순간에 과감하게 실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결정적인 순간이란 상대선수의 드리블이 길어졌거나 상대선수가 볼로부터 몸의 중심을 잃었을 때를 의미하며 이 순간을 포착하여 과감한 태클을 구사하여야 한다.
슬라이딩 태클시 유의해야 할 점은 볼을 보고 태클을 시도하지 말고 볼의 진행방향으로 볼보다 1m 정도 앞쪽으로 깊숙한 태클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태클에는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bent leg slide tackle)과 후크 슬라이드 태클(hook slide tackle) 두 종류가 있다. 대체로 이 두 태클은 볼을 경기장 밖으로 차내고, 패스나 킥을 차단하고, 볼을 팀 동료에게 패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을 수행하기 위해 수비수는 공격수의 약간 후방 측면에 있어야 한다. 태클 하는 선수는 볼에 접근할 때 낮추어진 몸체가 드리블하는 선수 쪽으로 회전된다(그림 7-7 B, C).
지면과의 접촉은 태클하지 않는 다리의 바깥쪽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태클하지 않는 다리는 무릎을 굽힌다(그림 7-7C). 지면과의 접촉시 생기는 충격은 드리블하는 선수와 가까이 있는 몸통과 팔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그림 7-7 C, D). 드리블하는 선수를 향한 엉덩이 회전은 태클 하는 다리의 스윙을 돕는다. 볼은 발등을 통해서 처리되어야 한다(그림 7-7C).
그림 7-7.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
(2) 후크 슬라이드 태클
후크 슬라이드 태클에서 볼에 접근하는 방법(그림 7-8 A, B)은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에서 사용된 방식과 비슷하다. 후크 슬라이드 태클에서도 몸통을 드리블하는 사람 쪽으로 회전해야 한다.
그러나 후크 슬라이드 태클은 다리의 사용이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과 다르다. 후크 슬라이드 태클에서는 드리블하는 사람과 멀리 떨어져 있는 다리를 이용하여서 태클 하는 사람의 신체를 지면으로 낮게 하고 공격수 쪽으로 회전한다(그림 7-8 A-C). 드리블하는 사람과 근접한 다리가 볼을 태클 하기 위해서 전방으로 회전되고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한다(그림 7-8 A-C). 엉덩이, 몸통, 그리고 신전된 팔로 부가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림 7-8 D). 후크 슬라이드 태클에서는 발등, 발끝, 발바닥 중 아무 것이나 드리블하는 사람에게서 볼을 빼앗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태클은 벤트 레그 슬라이드 태클로 닿을 수 있는 거리보다 더 멀리 있는 볼에 닿을 수 있다. 그러나 후크 슬라이드 태클은 볼에 앞선 상대방과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반칙을 범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
그림 7-8. 후크 슬라이드 태클
핵심 사항(슬라이드 태클)
- 상대방에 근접하게 움직인다.
- 다리, 엉덩이, 몸통, 신전된 팔의 측면으로 지면에 닿는 충격을 흡수한다.
- 상대방의 드리블 사이에 볼을 태클 한다.
- 태클 후에는 발을 즉시 되돌려 놓는다.
범하기 쉬운 오류
- 부적절한 태클 타이밍으로 상대에게 드리블 돌파를 허용하여 상대팀에게 수적인 우위를 점 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다른 개인 수비 기술이 행해질 수 있는 위치에서 슬라이딩 태클을 사용한다.
- 드리블하는 사람에게 반칙을 범한다.
'축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본기술⑵드로인 (0) | 2010.05.17 |
---|---|
[스크랩] 기본기술⑵볼 컨트롤 (0) | 2010.05.17 |
[스크랩] 기본기술⑵드리볼 (0) | 2010.05.17 |
[스크랩] 기본기술⑵슈팅(shooting) (0) | 2010.05.12 |
[스크랩] 축구전술②수비전술 (0) | 201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