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기술②포메이션의 이해
(1) 포메이션은 상성을 생각해야 한다.
일단 포메이션의 황금 비율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상대방의 포메이션과의 상성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팀마다 맞추기가 어렵다면 자신의 팀의 선수 능력과 포지션, 플레이어가 추구하는 축구 스타일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2) 포메이션에 따른 수비라인의 차이점
상성이란 상대방 선수들이 우리 진영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관계를 말한다. 즉, 만약 상대방이 2명의 공격수를 배치했을 경우는 2명이 중앙수비를 두고 한명을 스위퍼로 둔다던가와 같은 수비진의 배치를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장단점을 알아도보록 하자.
① 3백의 장단점
3백은 중앙에 3명의 수비수를 두는 것을 말한다. 골 앞에서의 수적 우위를 높이기가 좋지만 상대방이 사이드로 치고 들어올 때는 스페이스를 쉽게 내줄수 있기 때문에 양 사이드 미드필더들이 상대방 사이드 미들이나 사이드백을 막아줘야 한다.
|
||
3백의 장점 |
|
3백의 단점 |
② 4백의 장단점
4백은 수비스 양 옆 사이드 스페이스를 수비하거나 공격으로 전환시에 사이드백이 공격에 가담하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센터백이 상대방 포워드와의 1:1 상황이 많아지기 때문에 능력이 높은 센터백을 전제로 해야만 한다.
|
||
4백의 장점 |
|
4백의 단점 |
③ 5백의 장단점
5백은 무엇보다도 많은 수비 숫자를 둠으로써 상대방의 중앙, 사이드 돌파를 막아낼 수 있다는 점에 있으나, 아무래도 미드필더의 숫자나 공격수의 숫자가 적어진다는 취약점이 있다. 상대방보다 절대적인 약세에 있을 때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5백의 장점 |
|
5백의 단점 |
(3) 포메이션에 따른 미드필더 배치의 차이점
수비와 다르게 미드필더는 공격의 측면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3가지 타잎으로 배치를 하는데, 공격 방법과 수비방법에 따른 A,B,C 형태가 있다. 각각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4명의 미드필더를 기준으로 하되, A,B,C에 따른 전반적인 공수성향은 비슷하다. 다른 포지션은 뒤에 따로 공략하였다)
① A타잎
다이아몬드로 배치하는 방법이다. DMF를 1명 둠으로써 공격을 좀 더 중시한 방법으로 우수한 DMF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② B타잎
DMF를 2명 두어 발란스를 중시한 배치방법이다.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약간 공격적 성향의 DMF를 두어 역할 분담을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든다면 한명은 발락, 한명은 로이 킨과 같은 배합을 말한다.
③ C타잎
중앙 미드필더를 일렬로 늘어뜨려 놈으로써 CMF의 공수가담을 자유롭게 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아무래도 스태미너 소비가 많아지게 됨으로, 체력이 좋고 공수 포인트가 좋은 선수들을 기용할 때 좋은 방법이다.
|
||
4 미들의 A타잎 |
|
4 미들의 B타잎 |
4 미들의 C타잎 |
(4) 포워드 배치 요령
일반적으로 포워드는 투톱으로 놓는데 포스트 플레이어의 유무, 혹은 포워드의 적성에 따라 원톱이나 쓰리톱을 쓰기도 한다. 일반적인 패턴은 포스트 플레이어가 있을 경우는 원톱, 장신의 공격수와 빠른 공격수를 배합한 투톱, 스피드가 있는 윙포워드들이 있다면 쓰리톱을 쓰는 경우가 많다.
원톱으로 사용하기 위한 선수의 조건은 아무래도 보디밸런스가 좋고, 점프력과 키가 큰 신체능력이 좋은 선수가 좋으며, 투톱은 헤딩이 좋거나 스피드가 좋은 선수들을 즉, 같은 타잎보바도 서로 상호보완관계의 선수들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포지션 에디트와 역할설정
기본적인 포메이션이 맘에 안든다면 선수의 위치를 바꿀수 있는 포지션 에딧과 역할을 설정할 수 있다(필자의 위닝공략 파트1 포메이션 부분을 참고하면 보다 수월하게 바꿀 수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은 영역으로 해당 선수의 위치를 변경하면 아무래도 역할이 바뀌게 되는데, 수비엔 최대5명, 최소 2명, 미드필더론 최대 6명, 최소 2명, 공격수론 최대4명, 최소 1명까지만 가능하다.
또한 각 포지션마다 변경가능한 역할이 있기 마련인데 아래와 같다.
DF |
CB, SW, SB |
MF |
DMF, CMF, OMF, SMF |
FW |
CF, WF |
또한 하단의 표는 각 역할에 필요한 능력치의 구분이다.
GK |
GK스킬, 디펜스, 리스판스, 민첩성, 점프력 |
CB |
디펜스, 보디밸런스, 헤딩 |
SB |
디펜스, 오펜스, 스태미너, 롱패스정확도 |
SW |
디펜스, 보디밸런스, 가속력, 플레이안정도 |
DMF |
디펜스, 스태미너, 숏패스정확도, 롱패스정확도 |
SMF |
오펜스, 롱패스정확도, 드리블스피드, 드리블정확도 |
OMF |
오펜스, 숏패스 정확도, 숏패스스피드, 테크닉 |
CMF |
스태미너, 오펜스, 디펜스 |
CF |
오펜스, 슛정확도, 헤딩, 보디밸런스 |
WF |
오펜스, 가속력, 드리블시피드, 드리블정확도 |
|
영역별로 구분한 포지션 |
3. 포메이션 상세 분석
4-5-1 A |
공격숫자를 늘려 다양한 공격 패턴을 살린다. | |
수비력 : ■■■■□□□□ 공격력 : ■■■■■■■□ | ||
공격시의 특징 |
사이드나 중앙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격패턴을 만들 수 있으며 강력한 CF의 포스트플레이가 필요하다. | |
수비시의 특징 |
느린 공격에는 대응이 쉬우나 속공에는 한번에 뚫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SB가 공격에 참가하고 있을 때는 단 한명의 DMF만이 수비에 가담하기 때문에 부담이 있다. | |
포메이션 장점 |
포스트플레이 등을 이용한 다양한 공격 | |
포메이션 단점 |
빠른 역공에 당하기 쉽다. DMF 의존도가 높다. | |
키 포지션 |
DMF |
많은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 스태미나와 수비력이 좋아야 함 |
CF |
확실한 키핑력과 보디밸런스등 신장이 큰 선수가 좋음 | |
총평 |
원 톱에게 볼을 연결한 뒤 다시 2선에서 침투하는 SMF, OMF에게 볼을 내주는 플레이를 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양 SB들이 공격에 가담하며 공격을 두텁게 만들기도 좋다. |
4-5-1 A 포메이션 |
4-5-1 B |
공수 밸런스를 갖춘 범용성이 높은 시스템 | |
수비력 : ■■■■■■□□ 공격력 : ■■■■■□□□ | ||
공격시의 특징 |
CF 타입에 맞춰 공격을 전개할 수가 있다. 강력한 OMF의 존재가 폭 넓은 공격을 위해 필요하다. | |
수비시의 특징 |
SB가 공격에 가담해도 2명의 DMF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수비를 꾀할 수 있다. | |
포메이션 장점 |
CF의 특징을 살리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공수 밸런스가 빼어나다. | |
포메이션 단점 |
1톱과 한명의 OMF를 사용하기 때문에 득점력이 우수한 CF와 역시 뛰어난 쉐도우 스트라이커가 요구된다. CMF의 부재도 단점. | |
키 포지션 |
SMF |
스피드와 돌파가 좋은 사이드백이 요구된다. |
OMF |
숏, 롱 패싱력을 갖춘 선수가 필요하다. | |
총평 |
2명의 DMF를 두어 수비에 안정을 꾀하는 동시에 점유율을 높이고 싶을 때 사용한다. 부족한 OMF를 보충하기 위해서라도 스피드와 돌파력이 좋은 SMF들을 갖추는 것이 좋다. |
4-5-1 B 포메이션 |
4-4-2 A |
사이드 돌파를 축으로 한 세밀한 패스로 공격을 전개 | |
수비력 : ■■■■□□□□ 공격력 : ■■■■■□□□ | ||
공격시의 특징 |
SMF와 SB의 연계로부터 사이드 공격이 가능하다. 세밀한 패스웍을 통해 상대방 수비를 무너뜨린다. | |
수비시의 특징 |
DMF가 한 명이기 때문에 사이드 선수들의 수비가담이 필요하며, 전선부터 프레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격수도 어느 정도 수비력을 갖춘 선수가 좋다. |
자료출처:축구장-보물섬
'축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사이드 킥 [inside kick] (0) | 2010.05.17 |
---|---|
[스크랩] 축구의 시스템 과 전략. 전술의 비교 (0) | 2010.05.17 |
[스크랩] 축구기술①포지션의 의미와 요구점 (0) | 2010.05.17 |
[스크랩] 수비 지향적인 압박형 3-5-2 전술 (0) | 2010.05.17 |
[스크랩] 유소년축구 전술(4-3-3시스템) (0) | 2010.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