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빈자리로 달려가는 자기편에게 패스 |
공격방향을 바꿀 때뿐만 아니라 패스는 빠른 스피드로 움직이는 자기편에게 보내야 효과적이다. 자기편 선수의 돌파력이 뛰어난가 아닌가를 알아두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자기편 선수가 조금이라도 늦게 들어오면 상대에게 기회를 주게 된다. 어느 곳으로 패스하면 효과적일지 평상시 연습할 때 서로 확인해 두도록 한다.
실전에는 항상 상대 진영의 빈자리를 찾아내 그곳으로 볼을 주어 유리한 시합을 전개한다. |
 |
② 골 앞에서 공격 방향을 바꾸면 위력이 배로 증가한다. |
좌우로 볼을 전개하면 수비 진영이 무너지기 쉽다. 골 앞에서는 늘 슛 찬스가 생긴다. 골키퍼는 정면 공격보다 좌우로 밀고 들어오는 공격에 더 약하다. |
 |
③ 서 있는 선수에게는 패스를 보내지 않는다. |
반대편에 빈자리가 있더라도 자기편이 정지해 있으면 공격 방향을 바꾸어 패스를 해도 상대방에게 인터셉트 당해 시합 전개가 힘들어지기만 한다. 특히 공격할 때의 패스는 움직이고 있는 자기편에게 주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공격 리듬을 무너트리지 않기 위해서도 자기편 선수의 움직임을 멈추지 않게 하는 빠른 패스를 보낼 필요가 있다.
상대선수가 태클을 해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드리블 실력을 갖추고 있으면 돌파할 수 있다. 중심을 낮춰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상대를 과감히 돌파할 수 있는 드리블을 평상시 연습을 통해 쌓아두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
 |
④ 드리블 돌파에서 수적으로 우세하게 만든다. |
드리블 돌파로 마크를 따돌리면 상대방은 다시 또 한 사람을 붙여 마크를 해야만 한다. 이 순간 상대방의 수비 진영이 흔들려 패스할 장소나 슛 기회가 생긴다.
공격에 가담했던 상대 사이드백이 되돌아오는 시간이 늦어져 빈자리가 생겼을 때도 득점 찬스이다. 그 빈자리를 이용해 속공을 빠르게 진행한다. |
 |
득점 찬스를 만들어 내는 세트 플레이의 위력
상대의 견제를 받지 않고 플레이를 할 기회가 어느 정도 있다. 스로인, 코너킥, 프리 킥, 나아가 페널티 킥이라는 세트 플레이다.
이 플레이는 평소의 연습 성과를 보여준다. 연습할 때 정확하게 할 수 없으면 실제 게임에서도 100% 불가능하다.
그러나 연습할 때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면 실전에서 아주 높은 확률로 득점과 연결된다. 이기기 위해서 세트플레이 연습을 충실히 해둔다.
|

① 파울 스로를 절대로 하지 않는다 |
볼은 손바닥으로 잡고, 머리 바로 위를 통해 전방으로 던진다. 이때 볼이 머리 위를 통하지 않거나 발이 터치라인을 넘거나 지면에서 떨어지면 파울 스로가 된다. |
 |
② 자유로운 자기편에게 스로인 |
스로인을 받는 모든 선수는 항상 상대편 선수의 뒤를 쫒아가는 움직임을 하여 공간을 만들고 정확하게 받는다.
* 수비자의 등뒤로 던진 볼에 자유로이 자기편이 달려드는 듯한 형을 만든다. 아니면 자기가 볼을 받을 것처럼 하다가 뒤에서 달려오는 자기편에게 스로한 볼을 받게 한다. 이때부터 슛 찬스가 생긴다.
|
 |

① 자유로운 선수를 겨냥한다. |
키커는 골 앞에서 자기편의 어떤 선수가 자유로운지 빨리 파악한다. 헤딩이 높고 강한 자기편에게 줄 수 있다면 득점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선수에게는 상대의 마크가 끈질기게 따라다닌다. 따라서 헤딩이 강한 선수를 자유로운 선수에게 넘길 수 있다면 득점 확률은 상당히 높아지기 마련이다. 코너 킥에서는 점수로 연결되는 킥의 위력이 효과를 발한다. |
 |
② 득점률이 높은 가까운 골포스트를 겨냥한다. |
볼을 일직선으로 빠르게 가까운 골포스트를 향해 찬다. 이 볼은 골포스트 바로 앞에 있는 자기편 선수가 머리로 볼의 코스를 바꿔 슛을 하거나 골 앞에 있는 다른 선수에게 최종 패스를 한다. 수비측에서는 볼이 어느 쪽으로 날아올지 알기 어렵다. 프로팀은 이와 같은 기본적인 팀 플레이를 반복해서 연습한다. |
③ 쇼트 코너에서 수비 진영을 무너뜨린다. |
옆의 그림과 같이 가까이에 있는 선수에게 볼을 넘겨 드리블 돌파를 시키는 것이 좋다. 드리블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기편에게 최종 패스를 보낼 찬스가 있다. 수비 진영을 흔들리게 하는 기본 전술이다.
|
 |

① 중반전의 프리 킥은 속공이 효과적 |
골 앞 15m 거리에서의 프리 킥이라고 하면 이것은 대부분 개인 테크닉이 효과를 나타낸다. 볼을 차는 선수는 직접 골을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프 라인보다 뒤쪽에서 얻어낸 프리 킥은 속공이 효과가 있다. 상대편 수비 진영이 형성되기 전에 플레이를 재개, 즉 빨리 시작한다면 한 순간에 공격 태세로 들어갈 수 있는 찬스이기 때문이다. |
 |
② 골앞 25m에서는 슛을 노릴 수 있다. |
프로축구팀에서는 코너 킥과 마찬가지고 프리 킥이라는 가정하의 세트 플레이 연습에도 상당한 시간을 할애한다. 큰 득점 찬스이기 때문이다. 볼을 차는 선수의 기술과 9.15m 앞에 나란히 서 있는 상대 수비진을 공략하는 것이 득점할 수 있는 열쇠이다.
벽을 만들고 있는 상대 선수들 사이에서 빈틈을 발견하여 그곳으로 차 넣거나 커브를 넣어 벽 위를 넘기는 킥으로 할지, 아니면 차는 듯한 모션을 취하다가 자기편 다른 선수에게 차게 하는 등 선수 개인 및 팀 전체가 총력을 다해 이 세트 플레이에 도전해야 한다. |
① 제3의 선수를 이용해 기본적인 역패스를 하여 수비를 혼란시킨다 |
 |
② 자유로운 자기편에게 스로인 |
 |
① 거기에서 A는 B가 있던 비어 있는 자리로 가서 C로부터 다시 패스를 받는다. 이것은 벽 패스라고 하는 기본적인 패스 방법으로 두 개의 패스 코스를 만들어 상대 수비 진영을 무너트리는 콤비네이션 공격의 한 예이다. |
 | |